좌석 등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석 등급은 항공, 해운, 철도,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승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편의 시설의 차이를 나타내는 기준이다. 항공에서는 일등석, 비즈니스석, 이코노미석,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등으로 구분되며, 해운에서는 과거 대양 정기선에서 1등석, 2등석, 스태리지 등으로, 현대 크루즈선에서는 다양한 객실 등급으로 나뉜다. 철도는 1등석과 2등석으로 구분되며, 유럽에서는 1950년대 말 2등급 체제로 전환되었고, 아시아, 북미, 대한민국 등에서도 다양한 좌석 등급을 운영한다. 버스의 경우, 대한민국에서는 고속버스가 일반고속, 우등고속, 프리미엄 고속버스로 구분되며, 일부 트램에서도 좌석 등급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석 등급 - 일등석
일등석은 항공기, 철도, 유람선 등에서 일반석보다 넓고 편안한 좌석과 다양한 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좌석 등급으로, 항공기에서는 넓은 좌석 공간과 고급 식사, 철도에서는 넓은 좌석 간격과 전원 콘센트 등을 제공하며, 명칭과 서비스는 운영사에 따라 다양하고 항공에서는 비즈니스석을 최고 등급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 좌석 등급 - 비즈니스 클래스
비즈니스 클래스는 항공, 철도, 버스 등에서 일반석보다 높은 등급의 좌석으로, 넓은 좌석 공간, 고급 기내식, 전용 라운지 등의 향상된 편의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소득층 출장객이나 관광객에게 인기가 있다. - 철도 승차권 - 일등석
일등석은 항공기, 철도, 유람선 등에서 일반석보다 넓고 편안한 좌석과 다양한 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좌석 등급으로, 항공기에서는 넓은 좌석 공간과 고급 식사, 철도에서는 넓은 좌석 간격과 전원 콘센트 등을 제공하며, 명칭과 서비스는 운영사에 따라 다양하고 항공에서는 비즈니스석을 최고 등급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 철도 승차권 - 비즈니스 클래스
비즈니스 클래스는 항공, 철도, 버스 등에서 일반석보다 높은 등급의 좌석으로, 넓은 좌석 공간, 고급 기내식, 전용 라운지 등의 향상된 편의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소득층 출장객이나 관광객에게 인기가 있다. - 여행의 형태 - 배낭여행
배낭여행은 저렴한 예산으로 장기간 해외를 여행하며 현지 경험과 자아 성찰을 추구하는 여행 형태이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윤리적 문제와 안전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여행의 형태 - 휴가
휴가는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 여행 등을 즐기는 시간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으며 건강, 웰빙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국가 및 기업별로 정책과 문화가 상이하다.
좌석 등급 |
---|
2. 항공
전통적으로 항공기는 앞쪽부터 뒤쪽으로 일등석, 비즈니스석, 이코노미석으로 나뉘며, 때로는 객실이라고도 불린다.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항공사들은 이코노미석과 비즈니스석 사이의 중간 등급으로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추가하기도 했다.
각 좌석 등급은 눈에 보이지 않는 예약 또는 운임 등급으로 더욱 세분화된다. 이 예약 등급에 따라 같은 객실에 탑승하더라도 상용 고객 포인트 적립률, 수하물 허용량, 항공권 변경 또는 환불 규정 등 조건과 혜택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2. 1. 대한민국의 항공 좌석 등급
대한민국의 항공사들은 일반적으로 국제선 노선에서 일등석, 프레스티지석(비즈니스석), 이코노미석의 세 가지 좌석 등급을 운영한다.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항공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최근 일부 항공사들은 이코노미 클래스와 비즈니스 클래스 사이에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기도 한다.국내선의 경우, 대부분 이코노미 클래스 단일 등급으로 운영되지만, 일부 노선에서는 비즈니스 클래스를 운영하기도 한다.
좌석 등급이 높아질수록 허용되는 수화물의 무게 한도가 늘어나고 기내식이나 좌석 편의성 등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3. 해운
크루즈선이 여객 운송의 주요 수단이 되기 전, 대양 정기선은 주로 1등석, 2등석, 그리고 스태리지(steerage, 3등석에 해당)와 같이 등급별로 서비스를 제공했다. 오늘날에도 큐나드 라인과 같은 일부 해운 회사는 이러한 전통적인 등급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큐나드 라인의 등급별 선실과 전용 시설은 다음과 같다.
등급 | 전용 시설 |
---|---|
Queen's Grill|퀸즈 그릴eng | 전용 라운지, 레스토랑 |
Princess Grill|프린세스 그릴eng | 전용 라운지, 레스토랑 |
Britannia|브리타니아eng | 전용 라운지, 레스토랑 |
4. 철도
열차는 일반적으로 상위 등급인 1등석과 2등석(영국에서는 일반석으로 알려짐)으로 좌석 등급을 나눈다. 침대차가 있는 열차의 경우, 더 다양한 등급의 좌석이 있을 수 있다.
4. 1. 유럽


유럽 철도 시대 초기에는 거의 모든 철도 운영사가 여객 서비스에 세 가지 등급을 제공했다. 가장 고급스러운 1등석은 수요가 적었지만 고급 덮개가 있는 좌석을 갖추었고, 2등석 역시 덮개가 있었으나 수준이 낮고 좌석 공간이 좁았다. 반면 3등석은 나무 벤치만 제공되었다. 대부분의 여객 열차는 1등석과 2등석 객차를 한두 개만 운행했으며, 나머지 객차는 모두 3등석이었다.
영국에서는 빅토리아 시대 동안 대부분의 열차가 1, 2, 3등석의 세 등급을 운영했다. 그러나 1875년 미들랜드 철도는 2등석을 폐지하고 1등석과 3등석만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때 기존의 기본적인 나무 좌석 3등석 객차 대신, 이전 2등석 수준의 시설을 갖춘 객차를 3등석으로 운영하면서 요금은 그대로 유지했다. 동시에 1등석 요금은 이전 2등석 수준으로 인하했다. 이 정책은 큰 성공을 거두어 더 많은 승객을 유치했고, 다른 철도 회사들도 이를 따르게 되었다. 19세기 말까지 거의 모든 영국 열차는 1등석과 3등석의 두 등급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등급 모두 덮개 있는 좌석과 조명, 난방 시설을 갖추었다. 다만, 싸구려 열차 법 1883에 따라 노동자를 위해 운행된 일부 3등석 열차는 청소 편의를 위해 나무 벤치를 유지했고, 유럽 대륙과 연결되는 보트 열차는 여전히 3등급(1, 2, 3등석) 체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영국 철도는 1956년 6월 3일부터 '3등석' 명칭을 '2등석'으로 변경했고, 1987년 5월 11일부터는 '표준석'으로 다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유럽 대륙에서는 1950년대 말까지 3등급 체제가 유지되다가, UIC가 고안한 2등급 구조가 도입되면서 대부분 폐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구 1등석은 승객 감소로 인해 폐지되었고, 구 2등석이 새로운 1등석이 되었으며, 나무 좌석이 거의 사라진 구 3등석은 새로운 2등석으로 변경되었다.
현대 유럽 철도에서는 일반적으로 1등석과 2등석(또는 표준석 등)의 두 가지 등급으로 운영된다. 1등석 구역을 노란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통 객차 문 위나 창문 위에 노란색 띠가 둘러져 있다. 1등석 구역은 객차 전체이거나 한쪽 끝일 수 있으며, 다른 쪽 끝은 2등석이다. 좌석 배치는 일반적으로 2등석이 통로 양쪽에 2석씩 배치되는 '2+2' 방식이고, 1등석은 '2+1' 방식이다. 영국과 프랑스의 일부 단거리 통근 철도에서는 하위 등급에 '2+3', 1등석에 '2+2' 배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지하철, 교외 및 지방 열차는 때때로 2등석(표준석) 전용으로 운영된다. 1등석 전용 열차는 1980년대까지 Trans Europe Express와 같이 흔했지만 현재는 드물다. 고속 열차는 일반적으로 동일 노선의 저속 열차보다 요금이 비싸지만, 1등석과 2등석 좌석을 모두 제공한다.
아일랜드의 열차는 주로 표준석으로만 운영되며, 일부 장거리 노선에서만 더 높은 등급을 제공한다. 이 등급은 열차 종류에 따라 IE 22000 클래스 차량의 '프리미어', 마크 4 객차의 '시티골드', 국경 간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의 '퍼스트 플러스' 등으로 불린다. 통근 서비스에는 프리미엄 등급이 없다. 프리미엄 혜택은 독서등, 웨이터 서비스부터 2+1 리클라이너 좌석, 향상된 식음료 서비스까지 다양하다.
독일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1928년까지 일부 지방 열차에 '4등석'이 존재했다. 이는 매우 낮은 수준의 편의 시설을 제공했으며, 승객들은 등받이가 있는 단순한 나무 판자에 앉아야 했다. 객차 공간의 상당 부분은 시골 사람들이 상품이나 가축을 실을 수 있도록 비워져 있었다.

오스트리아 및 인접 국가에서 운행되는 레일젯(Railjet) 서비스는 예외적으로 3등급 체제를 운영하며, 최고 등급을 '비즈니스 클래스'라고 부른다.
2개 이상의 등급 좌석을 갖춘 객차는 '혼합 객차'라고 불린다.
4. 2. 아시아
아시아 여러 국가의 열차들은 다양한 좌석 등급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위 등급 좌석과 일반석 등으로 구분되며, 침대차가 운행되는 경우에는 더 다양한 등급의 좌석이 제공되기도 한다.4. 2. 1. 중국
중국의 일반 열차는 노선에 따라 소프트 슬리퍼, 하드 슬리퍼, 소프트 좌석, 하드 좌석 등의 등급을 제공한다.중국철도고속(CRH) 열차는 다음과 같은 좌석 등급을 제공한다:
- 소프트 슬리퍼 (일부 야간 노선에서만 이용 가능)
- 비즈니스 좌석
- 1등석 좌석
- 2등석 좌석
4. 2. 2. 대만
1949년 타이완 철도국은 최초의 '특급 지정석 열차'(特快對號車)를 도입하며 일본 식민 통치 시기부터 이어진 3등급 체제를 유지했다. 이 3등급 체제는 1953년까지 모든 일반 열차와 특급 열차에 적용되었다.1953년, 2등석 객차만으로 구성된 '평등 급행'이 도입되었다. 이후 점차 특급 열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급행 열차는 2등석만, 그 외의 완행 열차는 3등석만 제공하게 되어 열차 속도에 따라 서비스 등급이 나뉘는 경향을 보였다. 1956년에는 1등석 객차로만 운행하는 디젤 특급 열차가 등장했다.
1960년에는 특급 지정석 열차와 디젤 특급 열차의 요금을 통합하는 등 특급 열차 체계를 개편하면서, 공식적으로 모든 여객 열차는 단일 등급(1등급)만 제공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급행 열차는 과거 2등석에 해당하는 객차를, 완행 열차는 과거 3등석에 해당하는 객차를 주로 사용했다. 이후 다양한 종류의 객차가 도입되었으나, 이는 좌석 등급의 구분이라기보다는 열차 종류에 따른 서비스 차이로 여겨지게 되었다.
4. 2. 3. 일본
1872년부터 일본은 좌석 객차와 침대차 모두에 3등급 체계를 도입했다. 그러나 1960년에는 2등칸과 3등칸 열차의 환경이 개선되면서 1등칸 이용객이 크게 줄었다. 이에 따라 소수의 1등칸 객차는 대여 가능한 "특별" 객차로 변경되었고, 일본 철도 시스템은 사실상 2등급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때 기존의 2등칸은 1등칸으로, 기존의 3등칸은 2등칸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969년에는 등급 체계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이전의 1등칸은 "그린샤"(グリーン車|그린샤일본어, Green Car)로, 2등칸은 "보통차"(普通車|후츠샤일본어, Standard Car)로 이름이 바뀌었다.
현재 일본 여객철도 (JR) 그룹의 모든 회사는 서로 다른 등급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정 열차에 따라 이용 가능 여부가 다르다.
규슈 여객철도 (JR 규슈),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는 거의 모든 도시 간 열차에서 그린샤라는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와 시코쿠 여객철도 (JR 시코쿠)는 일부 열차에서,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도 일부 열차에서 그린샤를 운영한다. 그린샤의 대안은 보통차이며, 보통차는 지정석 없이도 구매할 수 있지만 모든 그린샤는 지정석으로 운영된다. 티켓은 미리 구매해야 하며, 그린샤 이용이 가능한 재팬 레일 패스 특별 버전도 있다.[3]
대부분의 JR 그룹 그린샤 좌석은 일반석보다 너비와 좌석 간격이 넓다. 일부 역에서는 그린샤가 열차 플랫폼으로 이어지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편리하다. 또한 그린샤에서는 슬리퍼나 일본어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4]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는 하야부사 노선에서 "그란클래스"(グランクラス|그란쿠라스일본어, GranClass)라는 더 높은 등급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란클래스 객차는 45도까지 젖혀지는 가죽 시트,[5] 발 받침대, 조절 가능한 식탁과 칵테일 트레이, 개인 독서등 등을 갖추고 있다. 전담 승무원이 일본식 및 서양식 식사를 제공하며, 음료와 주류도 무제한으로 제공된다. 하야부사가 도호쿠 지방으로 가는 장거리 노선이기 때문에 슬리퍼, 담요, 안대와 같은 숙박 편의 시설도 제공된다.[6]
4. 2. 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의 열차는 국영 기업인 인도네시아 철도 회사가 운영하며, 현재 장거리 여행을 위해 4개의 등급을 갖추고 있다. 모든 객차는 좌석 전용이며 침대칸은 없다.- '''특실/1등석'''(eksekutif|엑스쿠티프id) – 최고 등급이자 가장 비싼 등급으로, 가장 편안한 여행 수단을 제공한다. 2–2 배열의 리클라이닝 시트와 기내 TV가 있다. 특실 객차는 교통부에 의해 '''K1'''으로 분류된다. 또한, 특실 객차를 갖춘 열차는 가장 빠르다.
- '''아르고(Argo) 등급''' – 모든 열차 이름에 '''아르고''' 브랜드를 사용하는 최고 등급이다.
- '''동물 등급(Fauna class)''' – 아르고 등급 아래의 등급이다.
- '''비즈니스/2등석'''(bisnis|비스니스id) – 중간 등급으로, 요금은 특실의 약 60% 수준이다. 2–2 좌석 배열이며, 고정된 60도 각도의 시트를 갖추고 있다. 비즈니스석 객차는 교통부에 의해 '''K2'''로 분류된다. 인도네시아 철도는 이 등급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있다.
-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 – 비즈니스석과 이코노미석 사이의 중간 등급이다. 요금은 비즈니스석과 거의 같으며, 2-2 배열의 리클라이닝 시트를 갖추고 있다.
- '''이코노미/3등석'''(ekonomi|에코노미id) – 최하위이자 가장 저렴한 등급이다. 이코노미석 객차는 교통부에 의해 '''K3'''로 분류된다.
- '''상업용 이코노미 클래스'''는 2-2 좌석 배열이다.
- '''PSO 이코노미 클래스'''는 3-2 좌석 배열이며, 분할형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모든 등급의 객차는 금연 구역이며,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통근 열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는 좌석 예약이 필수이다. 좌석은 출발일 30일에서 90일 전부터 출발 시간 몇 분 전까지 예약 가능하며, 좌석이 남아 있는 경우에 한한다. 중장거리 열차에는 기내 카페, 수세식 변기(구형 열차에는 쪼그려 앉는 변기가 있음), 기내 고객 서비스 담당자(열차 관리자), 기내 보안 및 청소 서비스가 제공된다.[1]
열차 등급에 따라 운행 속도와 정차역 수가 다르다. 특실 열차는 가장 빠르며, 소수의 주요 역에만 정차한다(최우선 순위). 비즈니스 열차는 특실보다 다소 느리지만, 일반적으로 정차역이 많지 않으며, 이코노미 객차가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두 번째 우선 순위). 이코노미 열차는 많은 작은 역에 정차하고,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는 모든 특실 및 비즈니스 클래스 열차를 먼저 보내야 하므로 목적지까지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세 번째 우선 순위). 중요도가 낮은 많은 노선에는 비즈니스 또는 특실 서비스가 없거나 둘 다 없는 경우가 많다. 일부 열차는 특실-비즈니스, 특실-이코노미, 특실-프리미엄 이코노미, 또는 특실-비즈니스-이코노미와 같이 2개 또는 3개의 클래스가 혼합되어 운행된다.
지역 또는 통근 열차의 경우, 단일 등급 서비스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좌석 배열과 이동 시간이 다른 클래스가 운행될 수 있으며, 낮은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보다 더 많은 역에 정차한다. 예를 들어, 조그자카르타–솔로 노선에는 에어컨이 설치되고 가로 좌석이 있는 ''스리웨다리'' 열차와 에어컨이 없고 세로 좌석이며 정차역이 더 많은 ''쁘람바난 익스프레스'' 열차가 있다. 한편, 자카르타 수도권 지역에서는 2013년 중반부터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고 세로 좌석이 있는 단일 클래스 서비스만 제공된다.[2] 자카르타의 통근 열차는 인도네시아 철도 회사의 자회사인 케레타 통근 인도네시아가 운영한다.
4. 2. 5. 인도
인도 철도는 일반적으로 6개의 주요 좌석 등급을 제공하며, 일부 열차에는 추가적인 등급이 있을 수 있다. 각 등급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등급 | 특징 |
---|---|
1등석 A/C (1A) | 최고 등급으로, 모든 열차에서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문으로 분리된 2인용 또는 4인용 객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열차당 1A 객차는 1개만 편성된다. |
2등석 A/C (2A) | 에어컨이 설치된 4인용 + 2인용 객실 구조이다. 1A와 달리 문 대신 커튼으로 공간을 구분한다. 장거리 열차에는 보통 1~2개의 2A 객차가 있다. |
3등석 A/C (3A) | 에어컨이 설치된 6인용 + 2인용 객실 구조이다 (한쪽에 6개 침대, 복도 건너편에 2개 침대). 대부분의 열차에 2~5개의 3A 객차가 편성된다. |
A/C 의자차 (CC) | 주로 하루 안에 이동하는 단거리 열차에서 볼 수 있다. 에어컨이 있으며, 좌석은 보통 3x3 배열이다. |
슬리퍼 클래스 (SL) | 3A와 유사한 6+2 침대 구성이지만 에어컨은 없다. 일반적으로 열차당 10~15개의 SL 객차가 편성된다. |
2등석 (2S) | A/C 의자차(CC)와 유사한 좌석 배열이지만 에어컨은 없다. 예약이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장거리 열차의 경우 상단 침대 대신 나무 중간 침대가 있는 SL 객차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지방 및 교외 열차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나무 좌석 열이 있는 개방형 객실 형태일 수도 있다. |
일부 열차에는 다음과 같은 좌석 등급이 추가로 운영되기도 한다.
등급 | 특징 |
---|---|
3등석 AC 이코노미 (3E) | 3A와 유사하지만, 객실 측면에 중간 침대가 추가되어 6인용 + 3인용 구성이다. 에어컨이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요금으로 편안한 여행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1등석 (FC) | 1A와 유사한 객실 구성이지만 에어컨은 없다. 현재는 더 비싼 2A나 저렴한 3A 등급에 밀려 점차 폐지되는 추세이다. 2011년 기준으로 뭄바이 통근 열차 등 일부 노선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
이그제큐티브 AC 의자차 (EC) | 2x2 좌석 배열이며 에어컨이 있다. 음식 서비스가 포함된다. 주로 주요 도시를 당일 거리 내에서 연결하는 "샤타브디 익스프레스"와 "테자스 익스프레스" 열차에서만 운영된다. |
4. 3. 북미
미국과 캐나다에서 열차 등급은 항공사의 등급 체계(예: 일등석, 비즈니스석, 일반석)와 유사한 경우가 많다. 암트랙(Amtrak)의 아셀라 익스프레스(Acela Express) 열차는 일등석과 비즈니스석 두 가지 등급을 제공하며, 노스이스트 리저널(Northeast Regional) 열차는 비즈니스석과 일반석을 제공한다. 캐나다의 비아 레일(Via Rail) 역시 암트랙과 비슷한 등급 체계를 운영한다. 침대칸이 있는 열차의 경우 추가적인 등급을 제공하기도 한다. 반면, 미국과 캐나다의 통근 열차는 여러 등급을 제공하는 경우가 드물다.4. 4.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고속철도(KTX, SRT)는 일반적으로 특실과 일반실 두 가지 등급으로 좌석을 운영한다. 특실은 일반실보다 좌석 간격이 넓고, 일부 좌석에는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생수 등의 편의 물품이 제공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무궁화호 열차 중 일부 편성에도 특실이 운영되고 있다. 과거에 운행했던 새마을호 역시 특실과 일반실로 구분하여 운영되었으나, 통일호는 별도의 좌석 등급 구분 없이 운행되었다.
5. 버스
멕시코에서는 버스 서비스 수준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운영하기도 한다. 가장 높은 등급은 드루조(De Lujoes) 또는 클로제 루조(Clase Lujoes)이며, 그 다음으로 플러스 클로제(Plus Clasees), 프리메라 클로제(Primera Clasees), 세군다 클로제(Segunda Clasees) 순서이다.[8]
6. 트램
두바이 트램은 아랍에미리트에서 일등석 여행을 위한 골드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7]
참조
[1]
웹사이트
Situs Resmi PT Kereta Api Indonesia (Persero)
https://tiket.kereta[...]
2018-09-20
[2]
웹사이트
Topik: Penghapusan KRL Ekonomi
http://www.tribunnew[...]
2013-04-01
[3]
웹사이트
Types of Tickets | Ticketing
http://www.jreast.co[...]
JR-East
2013-03-21
[4]
웹사이트
Japan Rail Pass: Green car or ordinary car?
http://www.fodors.co[...]
2013-02-21
[5]
웹사이트
JR東日本 {{!}} 東北新幹線E5系
http://www.jreast.co[...]
2013-03-21
[6]
웹사이트
"Hayabusa" GranClass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3-03-21
[7]
웹사이트
Dubai's Trams Have A '3-Class' Configuration!
https://hightechflig[...]
2017-10-01
[8]
웹인용
All About Buses In Mexico : Mexico Travel
http://www.mexconn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